• 최종편집 2025-01-14(화)
 
민주당김준혁후보_프로필2.jpg
사진/김준혁 후보 제공

 

[양해용 기자]=어제(29일)과 오늘(30일) 여러 언론에서 김준혁 후보의 과거 발언을 조명하는 기사를 내셨습니다. 특히 후보자가 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발언했던 내용 중 수원 화성 일대를 여성의 신체에 비유한 대목을 기사 제목 및 내용에 담았습니다.

 

이에 김준혁 후보는 해당 표현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 기록에 남아 있던 표현을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 수원 지역의 지리적 특징을 신체에 빗댄 기록을 아래와 같이 덧붙입니다. 중등 국어교과서 고전시가 단원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는 조선시대 문신이자 문인 윤선도의 글입니다.

윤선도는 글에서 수원을 ‘천년에 한번 만날 수 있는 길지’라고 표현 하며 아래와 같이 적었습니다.

 

[ 수원의 산은 참으로 풍수상(風水上) 대지(大地)에 해당되니, 안목 을 갖춘 자라면 감히 트집을 잡지 못할 것입니다. 다만 혈을 점 찍을 즈음에 소견에 차이가 있으니, 옛사람이 “산세를 바라보고서 용을 찾기는 쉬워도, 산에 올라가 혈을 점 찍기는 어렵다.〔望勢尋龍易登山點穴難〕”라고 하고, 또 “삼 년을 배우면 용을 찾을 수 있지만, 십 년을 배워도 혈을 점 찍을 수는 없다.〔三年學得尋龍 十年學不得點穴也〕”라고 한 것이 이해가 됩니다.

 

이 산이 입수(入首)의 맥(脈)이 된다는 것은 명백하여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 맥 아래에는 젖꼭지〔乳頭〕에 해당하는부분이 있고, 젖꼭지 아래에는 평탄한 부분〔坦處〕이 있고, 평탄 한 곳 아래에는 털 담요〔氈褥〕가 깔린 것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

 

고산 윤선도 문집 고산유고 (孤山遺稿) 중 총호사에게 올리는 글 김준혁 후보는 역사학자, 교육자로서 시민을 대상으로 삼아 많은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사료나 문헌 속 비유를 인용해 역사 문화적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기도 했습니다. 현대적 기준 으로 보면 이런 비유 가운데 일부 부적절한 표현이 있겠으나, 이 후보자가 특정 성별이나 집단을 비하하거나 차별하려는 의도로 해당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알립니다.

태그

전체댓글 0

  • 5990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더불어민주당 수원정 김준혁 후보 발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